Q 안전하게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A 스윙 브라우저의 안티피싱 기능을 이용해 보세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 이 형식의 파일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올 때가 종종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위와 같은 안내 메시지가 나오는지 궁금하셨죠?
차단이 되는 이유와 파일을 안전하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안내드리겠습니다.
※ 위험한 파일 형식이란?
여기서 '위험한 파일 형식'이란, 컴퓨터나 프로그램의 설정을 변경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악성 코드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파일 형식을 지칭합니다.
위험한 파일 형식으로 인식되는 프로그램 파일(.exe) 이나 매크로
또는 .com 파일 등 이러한 확장명이 있는 대부분의 파일이 정상적이지만,
악의성이 있는 파일의 다운로드가 컴퓨터 및 프로그램에 큰 문제가 되어 이를 안내하고 있습니다.
☞ 스윙 브라우저의 안티피싱 기능을 이용하면,
다운로드 받을 파일의 정보를 스윙 브라우저의 데이터와 대조하여
위험 가능성이 큰 파일을 사전에 차단하므로,더욱 안전하게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악의적인 의도가 있는 파일의 다운로드
전자 메일이나 일부 사이트를 통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실 때
1. 파일을 보낸 사람/기관을 신뢰할 수 없는 상황 (예: 스팸 메일 등)
2. 원하지 않는 파일이 다운로드 될 경우
3. 파일의 확장명이 두개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예: Document.txt.exe 또는 Photos.jpg.exe)
위와 같은 경우는 파일을 교묘히 조작하여, 컴퓨터 및 프로그램을 손상시킬 수 있는
위험한 파일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이러한 파일을 받으시려면, 컴퓨터 폴더에 저장하고 파일을 열기 전에
최신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하시길 바랍니다.
일반적인 파일 확장명의 예시는 아래 표와 같으며,
파일을 다운로드할 때에 위험한 파일로 인식될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확장명 | 파일 형식 |
.exe | 프로그램 |
.com | MS‑DOS 프로그램 |
.pif | MS‑DOS 프로그램 바로 가기 키 |
.bat | 배치 파일 |
.scr | 화면 보호기 파일 |
※ 안전하게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방법
스윙 브라우저 안티피싱 기능은 다운로드 받으려는 파일의 정보를
스윙 브라우저의 데이터와 대조하여, 위험 가능성이 큰 경우에 경고 메시지로 안내합니다.
(스윙 브라우저에서는 안티피싱 기능을 통해 악성 다운로드를 배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웹사이트 목록과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게시자 목록을 관리합니다.)
안티피싱 기능은 스윙 확장 프로그램으로 제공됩니다.
[안티피싱 확장 프로그램 확인 방법]
1) 스윙 브라우저 설정 및 관리(Alt+E) > 확장 프로그램 > 스윙 확장 프로그램
2) 스윙 확장 프로그램 목록 중 "위험 사이트 차단 (안티피싱)"을 확인하세요.
사용에 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이용하실 수 없으니 체크 부탁드립니다.
[ 안티피싱 확장 프로그램 설치 방법]
설치가 되어 있지 않으신 분이라면 http://swing-browser.com/Extensions 에서
클릭 한번으로 쉽게 설치하고,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티피싱 기능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시나요?
http://swing-browser.com/Function/Antiphishing 를 통해 스윙 브라우저의
안티피싱 기능에 대해 자세하게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그밖에 스윙 브라우저 안티피싱 기능과 관련된 문의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스윙 아지트에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FAQ > 기능 문의 FAQ'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툴바 및 스윙 브라우저의 알패스 데이터 백업하는 방법 (0) | 2018.01.09 |
---|---|
Q : 해킹 보상서비스(무료) 보상 기간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0) | 2017.05.15 |
Q : 다운로드 파일이 위험한 파일 형식으로 인식되었대요 (4) | 2015.01.12 |
Q : 파일 다운로드시 '악성 프로그램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라고 떠요. (0) | 2014.12.16 |
Q : 파일을 바로 실행할 수 없나요? (0) | 2014.12.16 |
Q : 스윙 브라우저 설정을 기본값으로 재설정하였대요. (0) | 2014.12.16 |